calendar_month 7월 10일 (목)


블록체인의 보안에서, 블록체인을 활용한 보안으로
Cristina Pérez-Solà 교수
바르셀로나 자치대학교

약력

-(2022.11.~현재) 바르셀로나 자치대학교 부교수
-(2012.~현재) 카탈루냐 온라인 대학교 조교수
-(2019.2.~2022.) 카탈루냐 온라인 대학교 전임강사
-(2018~2019) 로비라 이 비르질리 대학교 박사후 연구원
-(2016~2018) 바르셀로나 자치대학교 박사후 연구원
-(2011~2016) 바르셀로나 자치대학교 박사과정 연구원

발표내용

블록체인 기술은 분산된 디지털 자산을 보호하기 위한 초기 개념에서 출발하여, 이제는 다양한 분야에서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강력한 프레임워크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본 발표에서는 블록체인의 보안 역할에 대한 두 가지 흐름을 살펴봅니다. 첫 번째는 블록체인 프로토콜 자체에 존재하는 보안 취약점을 해결하는 과정이며, 두 번째는 블록체인을 보안을 가능하게 하는 기반 인프라로 활용하는 방향입니다.
먼저, 암호학적 보호기술을 포함한 블록체인 시스템 보안의 주요 발전 사항을 살펴보고, 인공지능(AI)이 위협 탐지와 전반적인 보안 강화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설명합니다. 이후에는 블록체인이 연합 학습(Federated Learning)과 같은 AI 프레임워크에서 안전한 데이터 공유 및 프라이버시 보호 프로토콜을 구현하는 기반 기술로 활용되는 최신 응용 사례들을 소개합니다.
이러한 양측면을 조명함으로써, 본 발표는 블록체인이 분산 시스템 보안의 대상이자 도구로서 갖는 전환적 잠재력을 강조하고자 합니다.
사이버 보안에서 인공지능의 미래를 탐구하다
Trần Quang Đức 교수
하노이과학기술대학교

약력

-(현재) 하노이과학기술대학교 정보통신기술학부 교수
-(현재) 하노이과학기술대학교 정보보호센터 소장
-(2018) 하노이과학기술대학교 컨퍼런스 프로그램 위원회 위원
-(2016) 하노이과학기술대학교 컨퍼런스 프로그램 위원회 위원

발표내용

공격자들의 전략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함에 따라, 사이버 보안 위협 역시 끊임없이 진화하고 있습니다. 인공지능(AI)은 위협을 자율적으로 탐지하고 대응함으로써, 다양한 사이버 공격에 대한 방어 능력을 보다 유연하고 역동적으로 강화합니다.
본 발표에서는 AI 기반 시스템이 복잡한 사이버 공격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인간의 실수를 최소화하는 데 있어 가지는 이점을 강조합니다. 또한, **적대적 AI(adversarial AI)**와 관련된 보안 위협과, 데이터 프라이버시의 윤리적 문제에 대해서도 함께 다룹니다.
마지막으로, 보다 안전한 미래 인터넷을 위해 AI의 사이버보안 통합이 필수적이라는 전망으로 발표를 마무리합니다.
공공부문 AI 도입과 보안: 지속가능한 파운데이션 구축 방안
윤창희 팀장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약력

-(2023.3~현재) 대구교육대학교 겸임교수
-(2024.4~현재) OECD AIGO(AI Governance) 그룹 AI Expert
-(2024.3~현재) 국제인공지능윤리협회(IAAE) 초거대 AI 위원회 위원장
-(1999.7~현재) 한국지능정보원 AI정책연구팀장(공학박사)
-(2016.7~2018.7) 러시아 SKOLKOVO재단 ICT Expert

발표내용

공공부문에서 초거대 AI(LLM) 활용이 확대됨에 따라, 보안과 데이터 주권 을 확보하려면 자국 내 통제 가능한 망분리 기반 폐쇄형 인프라가 필요하 며, 단발성 개발이 아닌 지속 가능한 운영체계 구축이 필수적 (지속가능한 파운데이션 모델 구축을 위한 방향) 민간 오픈소스 LLM(예: 라마, DeepSeek, LG 엑사온, 네이버 HyperClova X 등)을 기반으로 공공 특화 모델을 공동 개발, 의료, 법률 등 고위험·저수 익 분야는 공공이 주도하고, 민간과 상생 구조 형성 (공공 LLM 구축을 위한 5대 전략 프레임워크) 모델/아키텍처: 최신 기술 반영 가능한 내부 역량과 구조 확보 데이터: 고품질 공공 데이터를 정제·통합한 데이터레이크 구축 인프라: GPU·온프레미스·망분리 기반의 보안 인프라 확충 인력/조직: 내부 전문인력 양성과 공공-민간 협력 체계 마련 정책/제도: 연구데이터 법제화 및 운영기준 마련으로 제도적 뒷받침 보안성, 자율성, 지속가능성을 모두 확보하는 전략적 접근이 필요한 공공 AI분야의 AI 주권 실현과 국가 경쟁력 강화 방안 등 연구내용
ClumitSecurity: AI 클러스터링과 LLM 연동으로 만든 자율보안
조민규 CSO
클럼엘

기업 소개

ClumL은 고도화된 AI 기술을 바탕으로 사이버보안 혁신을 이끌고 있는 AI 전문 기업입니다. 자체 개발한 AI 클러스터링과 LLM(대규모 언어모델) 기반 분석 기술을 결합한 자율보안 플랫폼 Clumit Security를 통해, 룰이나 시그니처 없이 네트워크 전 구간에서 신종·변종·잠복형 위협을 실시간으로 탐지하고, 자동화된 분석과 자연어 리포팅 기능까지 제공합니다. ClumL은 AI 기반 자동화로 보안 운영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극대화하며, 기업, 공공, 산업 전반에 걸쳐 비즈니스 연속성과 정보 자산 보호를 지원합니다. 더 빠르고 정밀한 보안 대응을 목표로, 자율보안의 미래를 선도하는 AI 보안 회사입니다.

발표내용

Clumit Security는 ClumL이 독자적으로 개발한 AI 클러스터링과 LLM 연동 기술을 결합한 자율보안 플랫폼입니다. 본 발표에서는 대규모 네트워크 트래픽을 실시간으로 분석해, 룰이나 시그니처에 의존하지 않고 신종·변종·잠복형 위협까지 효과적으로 탐지하는 AI 클러스터링의 핵심 원리와 실제 적용 사례를 소개합니다. 또한 탐지된 이벤트를 LLM이 자동으로 해석하고 보고서를 생성함으로써, 반복적 수작업을 줄이고 보안 담당자의 전략적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구조적 혁신에 대해 설명합니다. Clumit Security를 통해 기존 보안 체계의 한계를 넘어, 보다 빠르고 정밀한 자율보안의 미래를 제시하고자 합니다.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 현실적 과제와 전략적 접근 방법
석상찬 부장
파이오링크

기업 소개

업계 최고의 애플리케이션 가용성과 성능을 제공하고, 데이터센터 인프라 관리 간소화, 쉬운 네트워크 관리와 정보보호로 지능화·고도화된 IT 환경에서 독보적인 기술과 리더십을 갖고 있습니다.
주요 제품으로 국내 시장 1위를 점유하는 애플리케이션 전송 컨트롤러, 웹 방화벽, 클라우드 매니지드 네트워킹, 하이퍼 컨버지드 인프라가 있으며, 주요 서비스로 보안관제와 보안컨설팅 등이 있습니다.
파이오링크는 고객의 신뢰를 바탕으로 세상과 세상을 이어주는 네트워크 기술의 개척자이자 사람과 사람을 이어주는 커뮤니케이션의 메신저로서 끊임없이 IT 환경을 선도적으로 개선하고 있습니다.

발표내용

IT 산업은 그 어느 때보다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의 중심에는 클라우드 기술이 있습니다. 기존의 전통적인 인프라에서 벗어나 클라우드 기반으로 전환하는 것은 기업에게 필수적인 전략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POPCON HCI는 VM 기반 시스템과 쿠버네티스 기반 컨테이너 환경을 단일 플랫폼에서 통합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운영의 복잡성을 줄이고 리소스 최적화와 확장성을 고려한 점진적인 전환을 가능하게 합니다.
기존 IT 인프라 자산을 최대한 활용하면서도 새로운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술을 유연하게 도입할 수 있어, 기업의 기존 투자 자산을 보호하고 효율적인 전화을 돕습니다.
POPCON HCI는 기존 IT 환경의 제약을 극복하고, 기업이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돕는 최적의 솔루션입니다.
제로트러스트를 기반으로 한 N²SF 구현방안
김광훈 전무
에스지에이솔루션즈

기업 소개

통합 IT보안 전문기업 SGA솔루션즈는 시스템 보안, 클라우드 보안, 차세대 보안, 응용 보안, 제로 트러스트 보안 등의 핵심 원천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축적된 통합 보안 기술을 바탕으로 안전한 IT 보안 환경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경계형 보안 전략의 한계와 클라우드, AI 등 IT 환경의 급격한 변화로 새로운 보안 패러다임으로 전환됨에 따라 SGA솔루션즈가 제시하는 통합 보안솔루션 체계가 더욱 주목받고 있습니다. SGA솔루션즈 국내 유일의 풀스택(Full-Stack) 제로 트러스트 아키텍처 솔루션 SGA ZTA를 통해 대한민국의 새로운 보안 패러다임을 선도하는 기업으로서 시장에 자리매김 해나가고 있습니다.

발표내용

제로트러스트를 기반으로 한 국가 망 보안체계(N²SF) 구현 전략에 대해서 고찰하고자 한다. 데이터의 C/S/O 등급 분류와 제로트러스트 성숙도 진단을 통한 AS-IS/TO-BE 모델 도출 및 중복투자 방지 및 통제 항목 끼리 충돌을 방지하여 효과적으로 Zero Trust를 도입할 수 있는 Zero Trust Overlay 방법론에 대한 접근 전략을 소개하고자 한다.
SOC의 진화, AI와 N²SF를 통해 말한다.
정일옥 연구위원
이글루코퍼레이션

기업 소개

이글루코퍼레이션은 대한민국 최초의 보안정보 및 이벤트 관리(SIEM) 솔루션 개발을 시작으로 인공지능(AI), 운영 기술(OT), 클라우드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며, 보안 조직의 업무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이는 데 집중하여 왔습니다.

인공지능(AI)을 핵심 성장 동력으로 삼은 이글루코퍼레이션은 2015년부터 AI 연구개발 투자를 확대하며, 보안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분류형·설명형·생성형 AI 기술 확보에 속도를 붙여왔습니다. 2019년 국내 최초의 AI 보안관제 솔루션을 출시한 것에 이어, 2023년에는 챗GPT를 적용한 AI 보안 어시스턴트 ‘에어(AiR)’와 고유의 소형언어모델(sLLM) ‘그린 Ai(GREEN Ai)’를 선보였습니다. 이글루코퍼레이션은 보안 운영 및 분석, 위협 대응 업무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AI 기반 오픈 XDR (AI-drivenOpen XDR)’ 구현에 속도를 붙입니다. AI-driven Open XDR 전략의 핵심 요소인 SPiDER ExD 공급을 확대하는 한편 AI 보안 어시스턴트 ‘에어(AiR)’ 제공 형태와 언어 모델을 다양화할 전략입니다.

발표내용

보안의 심장부 SOC가 진화하고 있다. 그 중심에는 AI와 N²SF, 그리고 이를 이해하고 같이 움직일 전문인력이 필요하다. OC 진화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각 분야별 변화와 해야 할 일에 대해서 알아보고, 이글루에서 적용하였던 여러 가지 방안에 대해서 살펴본다.

calendar_month 7월 11일 (금)


해커의 미래: CTF, AI, 그리고 나의 커리어
윤인수 교수
한국과학기술원

약력

-(2025~현재)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부교수
-(2021~현재) KAIST 정보보호대학원 겸임교수
-(2024~현재) 핵테온 세종 국제 대학생 사이버 보안 경진대회 자문위원
-(2021~2025)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조교수

발표내용

요즘 많은 학생들이 해킹을 CTF(Capture The Flag) 대회를 통해 처음 접 하고, 다양한 대회 문제를 공부하며 실력을 쌓고 있습니다. 물론 이 문제 들도 충분히 어렵고 도전적이지만, 문득 이런 생각이 들기도 하죠. "이 공 부가 과연 나의 커리어와 어떤 연결이 있을까?" "해커로서 커리어를 발전 시키기 위해 나는 무엇을 더 해야 할까?" 게다가 기술이 빠르게 변하고, AI가 보안을 포함한 모든 분야를 뒤흔들고 있는 지금, "나는 이 변화의 흐 름 속에서 어떻게 살아남을 수 있을까?" 라는 고민도 자연스럽게 따라옵니 다. 이번 강의에서는 CTF를 공부하며 성장해온 한 사람으로서, 그리고 현 재는 학생들을 가르치는 교수로서, 여러분이 해커로서의 커리어를 어떻게 만들어갈 수 있을지에 대해 저의 경험과 조언을 나누고자 합니다.
AI 시대 개인정보정책방향
김직동 과장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약력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학·석·박사 졸업 (전기및전자공학과)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신기술개인정보과장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비대면산업육성팀장
-국제기구 아·태전기통신협의체(APT) 파견
-지식경제부 소재부품총괄과
-정보통신부 산업기술팀
-LG전자 책임연구원

발표내용

생성형 AI시대의 사이버보안
류승진 실장
국가보안기술연구소

약력

-(2024~현재) 정보처리학회 데이터보안 및 프라이버시 연구회 운영위원
-(2022~현재) 정보보호학회 AI보안연구회 운영위원
-(2022~현재) 국가보안기술연구소 실장
-(2014~2021) 국가보안기술연구소 선임연구원
-(2007~2013) KAIST 석박사통합과정

발표내용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은 다양한 산업 전반의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보안 분야 역시 생성형 AI가 폭넓게 활용되고 있으나, 이로 인한 새로운 보안 위협 역시 크게 대두되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생성형 AI시대의 보안을 크게 AI 기술을 활용한 보안(AI for Security)과 AI 자체에 대한 보안(Security for AI)로 나눠서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생성형 AI가 어떻게 사이버 공격(피싱, 악성코드 생성 등)/방어(코드 감사, 로그 분석 등)에 활용될 수 있는지 설명한다. 이어서 생성 AI 자체의 취약점을 노리는 다양한 공격(프롬프트 인젝션, 데이터 포이즈닝 등)과 이에 대한 방어기법(가드레일 등)을 간략히 살펴보면서 생성 AI시대의 사이버보안에 대한 본 발표를 마치도록 한다.
양자시대를 위한 보안 패러다임의 진화
서승현 교수
한양대학교 ERICA

약력

-(2025.1-현재) 한국정보처리학회 상임이사
-(2022.1-현재) 한국정보보호학회 상임이사
-(2024.1-현재) 한국정보보호학회 자동차 및 무인이동체 보안연구회 위원장
-(2017.3-현재) 한양대학교 ERICA 전자공학부 교수(현)
-(2015.3-2017.2)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수학과 조교수
-(2014.6-2015.2)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왼 BK21 사업단 연구교수
-(2012.2-2014.5) 미국 Purdue Univ. 박사후연구원
-(2010.2-2012.2) 한국인터넷진흥원 선임연구원
-(2006.12-2010.1) 금융보안연구원 주임연구원

발표내용

최근 양자 컴퓨터의 발전으로 인해 기존 공개키 암호 체계의 안전성에 대 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양자컴퓨팅 시대에서의 보안 위협에 대비하기 위해 다양한 대응책들이 제안되고 있습니다. 이에 본 강연에서는 양자 컴퓨터의 개요와 양자 소프트웨어의 발전 현황을 소개하고, 양자 보 안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양자내성암호(PQC, Post-Quantum Cryptography) 표준화 현황에 대해 살펴봅니다. 더불어, 양자의 고유한 특성을 활용한 보 안 기술도 함께 소개합니다.
인공위성 신호의 대규모 분석에 관하여
차상길 교수
한국과학기술원 전산학부

약력

- 현재 KAIST 사이버보안연구센터 센터장
- 현재 KAIST 정보보호대학원 책임교수
- 2022년 IEEE Security & Privacy Test-of-Time Award 한국인 최초 수상
- 2024, 2022, 2020, 2014년도 ACM Distinguished Paper Award 수상
- 2023 USENIX Security Distinguished Paper Award 수상
- 2022 IEEE TSE Best Paper Award 수상

발표내용

현재 저궤도 위성은 7천 개 이상 운용되고 있으며, 스타링크 등의 발전으로 인해 매년 급속도로 그 숫자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에 반해 저궤도 위성에서 어떤 데이터가 송수신되는지는 알려진 바가 적습니다. 본 발표에서는 최근에 우리 연구팀에서 시작한 저궤도 위성 신호의 수집과 분석 관련 연구의 예비 결과에 관해 간단히 공유합니다. 아직은 초기 단계이지만, 대규모의 위성 신호 분석은 앞으로의 우주 보안 시대를 준비하는 우리에게 중요한 연구가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